[농식품 정책 관련 뉴스] ○ [아시아투데이] 농식품부, 올해 ‘농식품 모태펀드’ 2000억 규모 조성 - 작년 조성 규모 2173억… 계획 대비 7%↑ ○ [농식품부] 안정적인 겨울배추와 무 공급에 최선 - 설 대책 기간(1.6.~1.29.) 동안 할인행사, 일 200톤 이상 가락시장 방출, 계약재배 물량 확대 공급 ○ [농식품부] 2024년 케이-푸드 플러스(K-Food+) 수출액 130억달러 돌파, 역대 최고 실적 - 수출액(잠정)이 지난해보다 6.1% 증가한 130.3억달러, 역대 최고실적 달성 * 수출액: (`22) 118.3억달러 → (`23) 122.8 (3.8%↑) → (`24) 130.3 (6.1%↑) ○ [아시아투데이] 농가소득·기후위기 대응… 촘촘한 소득·경영 안전망 짠다 -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 이슈 선정, 농촌 미래 전환·수출전략 점검 과제 ○ [농민신문] ‘농식품 수급안정지원단’ 신설 - 이상기후로 인한 농산물 수급 불안이 되풀이되자 이를 전담할 관리조직 설치 ○ [농민신문] 16년간 ‘연 3700만원’…농외소득 규제 줄줄이 풀릴듯 - 후계농육성·귀농창업자금 올부터 기준 없애 대상확대 - ‘직불제’ 요건은 상향 계획, 연간 4500만원 수준 전망 [농업․농촌현장 뉴스] ○ [연합뉴스] LED전등으로 겨울 딸기재배 문제 해결 - 농촌진흥청 재배 기술 지원, 겨울 과채류 안정생산 기반 ○ [농민신문] 재배 느는 아열대작물…“재해보험 대상에 포함해야” - 열대망고·바나나도 피해 커 공적 보상서 소외 농가 불안 ○ [농민신문] 후계농육성자금 심사 탈락 속출…청년농 ‘날벼락’ - 선착순에서 선별로 방식 변경, 올해도 예산 적어 소수만 대출 ○ [파이낸셜뉴스] 인구감소지역 산지 허가기준 최대 20% 완화 - 인구감소지역에서 지방자치단체 조례에 따라 산지전용 허가기준을 최대 20%까지 완화 ○ [경향신문] “마늘은 기계로 못 심어··· 몸 힘드니 다들 시금치로 갈아타” - 손으로 심는 8개월 농사인 남도마늘 대신 3개월 농사인 시금치를 키우기 시작 ○ [농민신문] 전기요금 할인 특례제 폐지…새해 ‘도축수수료 인상’ 현실로 - 도축장 40여곳 줄줄이 올려, 농식품부 “대응책 준비 중” ○ [농민신문] 올 농업 고용허가제 근로자 축소 - 1만명…지난해보다 6000명↓ 계절근로 인력 대체 활용 전망 ○ [농민신문] 특별재난지역 지정됐지만…하우스 복구 ‘손도 못대’ - 경기 폭설 피해시설 곳곳에 방치, 예산 쥐꼬리…피해농가 발동동
[농작물 작황 및 가축질병 관련뉴스] ○ [한국농어민신문] 고병원성 AI 확산…‘물가만 보던’ 정부가 화 키웠나 - 농가·지자체 지난 연말부터 예방적 살처분 주문했지만... ○ [농민신문] 과수화상병 22% 줄어…“겨울철 궤양 제거 필수” - 식별 앱 활용·표피 벗겨 확인을 증상부위 40~70㎝ 아래 절단 ○ [세계일보] 고병원성AI 발생 농가 93% 방역수칙 위반 외 -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가금농장 대부분에서 방역수칙 위반 적발, 보상금 감액 [유통관련 뉴스] ○ [한국농어민신문] 농수산물 온라인도매시장 등록 구매자 융자 지원 - 대출 기간 1년, 금리는 1.5% ○ [농민신문] “사과, 설대목 물량 충분…배도 수급 지장 없을 듯” - 사과는 선물세트에 많이 사용되는 한개당 350~380g 크기의 물량 다수 확보 - 배는 지난해 작황 부진에도 각 산지별로 수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을 정도의 물량 구비 ○ [농민신문] [설대목 과일시장] 사과, 대과 적고 품위 낮아 등급간 가격차 클듯 - 사과 출하물량 평년과 비슷할 듯 폭염 여파 알 작고 색택부진, 강세장 유지 전망 ○ [농민신문] 무·배추·양배추…엽근채소값 당분간 강세 예상 - 제주 무 파종기 기상여건 악화, 해남 배추 공급량 부족 등 영향 [경제 / 사회 관련뉴스] ○ [문화일보] 5.5조 온누리상품권 공급… 설 물가 잡고 내수 진작 - 정부, 농산물 할인 900억 투입, KTX·SRT 역귀성표 40% 할인 ○ [동아일보] 잘나가던 자영업자마저 한숨… 대출 연체율 팬데믹때의 3.4배 - 소득 상위 30% 자영업자 연체율, 평균 1.35%… 9년반만에 최고 ○ [이데일리] 국민연금 도움으로 1440원까지 내려간 환율…하락세 이어질까 - 지난 7일부터 국민연금 환 헤지 물량 출회, 강달러에도 장중 ‘달러 매도’에 환율 하락 ○ [농민신문] 도시민 75% “농업·농촌 공익적 기능·가치 많아” - 도시민 10명 가운데 7명은 농업·농촌이 가진 공익적 기능에 대해 ‘가치가 많다’고 평가 [수출 관련뉴스] ○ [연합뉴스] 제주산 양배추 일본 수출 재개…"향후 수급 안정에 도움" - 이달부터 오는 4월까지 제주산 양배추 약 1천t을 일본으로 수출 [국제 뉴스] ○ [농민신문] 미국 AI 발생 파장…국내시장 ‘흔들’ - 고병원성 AI 발생으로 미국 상당수 지역에 대해 수입 금지 조치 ○ [중앙일보] 시진핑도 기름 부었다…아찔한 ‘에브리싱 랠리’ - 전세계가 물가 비상, 새해부터 천연가스·원유 등 에너지 가격과 식품 가격이 들썩이고... [시장트렌트 관련 뉴스] ○ [헤럴드경제] 새해 유통가, 설탕 줄이기에 꽂히다 - ‘헬시플레저’ 업계 트렌드 자리매김, 무당·저당 과자·음료 출시 잇따라 [농축산물 수급/소비 관련 뉴스] ○ [연합뉴스] 새해 제주산 겨울채소 가격 급등…월동무 작년의 2.9배 - 양배추 작년의 2.7배·당근 2.5배 ○ [한국농어민신문] 작황 부진 겨울무 ‘수확량 뚝’…당분간 수급 차질 이어질 듯 - 주산지인 제주 지역의 재배면적 감소와 기상 피해로 인한 작황 부진 ○ [한국경제] 꽁꽁 얼어붙은 소비심리…가성비 설 선물로 녹여요 - 유통업계 2주 빠른 설 특수에 올인, 한우·굴비·청과·주류 세트 가격 낮춰 ○ [문화일보] 고환율에 또 켜진 ‘물가 빨간불’… 휘발유·식품값 줄상승 - 휘발유 ℓ당 1700원대 코앞, 코코아 값 1년새 152%올라, 배추 158% · 무 237% 폭등 ○ [경향신문] ‘계란값 상승 막아라’ 정부·업계, 농할 쿠폰·납품단가 지원 등 최대 40% 할인 판매 - 설 성수기 계란값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... ○ [이투데이] 배추ㆍ무 물량 20만여톤 푼다…최대 40% 할인행사도 - 설 명절 총 20만여톤의 배추, 무 물량 시장에 풀고, 배추ㆍ무 할당관세 적용기간 추가 연장 [물가관련 뉴스] ○ [연합뉴스] 성수품 '역대 최대' 900억 할인…온누리상품권 환급 확대 - 농·축·수산물 최대 50% 할인 지원…설 성수품 역대 최대 27만t 공급 ○ [아시아경제] 설물가 위협하는 '기습 인상'…장바구니 부담 커졌다 - 고환율, 기후인플레이션 탓 원가 늘어" 신선식품까지 뛰면서 밥상 물가 비상 ○ [농민신문] 먹거리 물가 잡겠다며 과일 수입 또 ‘고개’ - 설 성수품 공급대책 역대 최대, 과일 10종 할당관세 추가 적용 ○ [국민일보] 계엄발 고환율에 수입 물가 상승세… 소비 심리 ‘꽁꽁’ - 농축수산물·기름값 계속 뛰어, 물가 2%대 재진입 가능성도 ○ [경향신문] “IMF 때보다 더 힘듭니다”…꽁꽁 얼어붙은 내수 - 고물가·고금리에 소비 여력 줄어든 소비자. 카드 매출, 일년 내내 전년 대비 ‘마이너스’ ○ [세계일보] 배추 59%·무 77%↑… 설 앞두고 물가 ‘비상’ - 배추 평균 소매가 1포기 5027원, 생육 부진에 조기출하 영향 겹쳐 [주간 농업농촌식품 동향] ○ [한국농촌경제연구원 주간브리프] 세계와 국내 경제 동향 및 농업․농정 동향 ☞ 자세히 보기 ※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협력하여 농경연에서 매주 분석하여 발표하는 농업농촌식품 동향인 “주간 브리프”을 링크하여 제공합니다. 위 자세히 보기를 클릭하면 농경연 사이트로 연결되고, 해당 사이트에서 아랫부분의 원문 PDF 자료를 클릭하시면 분석 동향을 보실 수 있습니다. |
※ 연합회에서는 정부지원사업, 농업정책 관련 상세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있으니 확인하시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