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농식품 정책 관련 뉴스] ○ [농민신문] 정부 지원사업 한눈에 ‘농업e지’ 플랫폼 출범 - 기존 농업경영체 정보 활용, 자격 식별…자동 맞춤 추천 ○ [농식품부] 기후변화에 대비한 배수시설 강화로 상습침수 농경지 대폭 줄인다 - 배수개선사업 132지구(기본조사 72, 신규착수 60)를 신규로 선정 ○ [농식품부] 청년농업인의 역량 향상을 위한 수요자 맞춤형 전문교육체계 구축 - 현재 6개로 나누어 운영하고 있던 성장 단계 전문교육과정을 역량 기반 교육체계로 통합·개편 ○ [문화일보] 디지털 육종·저메탄 벼·밭농사 기계화… 농진청, ‘스마트 농업’ 새 판 일군다 - 농진청 새해 주요 사업·정책, 콩·딸기·한우 등 59개 품목 데이터 디지털화해 통합관리 ○ [한국농어민신문] ‘온실가스 감축 벼 재배’ 활동비 지원한다 - 온실가스 감축활동 ‘직불금’ 20ha 이상 규모화 때만 가능 - ‘2025년 상반기 저탄소농업 프로그램’ 참여 농업인 모집(1.20~2.21, 한국농어촌공사) ○ [농식품부] 농업생산의 디지털 대전환을 위한 스마트농업 발전 청사진 제시 - 정부와 농산업계가 협력하여 추진할 「제1차 스마트농업 육성 기본계획(2025~2029)」 수립 ○ [연합뉴스] 오는 2029년까지 온실농장 35% 스마트팜으로 전환 - 밭작물 주산지 재배면적 20%에 스마트농업 기술 적용 ○ [동아일보] “해외농업개발에 배추-무 추가… 비상시 안심 도입 시스템 구축” - 유지류 등 전략 품목을 중에서 배추나 무 등 채소류까지 확대하겠다는 구상 ○ [아시아경제] 취약계층 농식품 바우처 전국 실시…지원액 年 100만원으로 확대 - 임산부, 영유아, 18세 이하 아동 있는 생계급여 수급 가구 대상 ○ [농민신문] 후계농 육성자금 지원규모 4500억 늘려 - 심사 탈락자 2월 내 대출 실행, 무기질비료 원료 구매 등 지원 ○ [한국경제] 1층선 쌀 재배, 2층엔 돼지농장…농지개념 확 바꾼다 - 수직농장 등 가능토록 개정 필요, 농지 상속·임대 땐 8년 농사지어야 [법령/제도/규정 관련 뉴스] ○ [농민신문] 실적 부진한 도매시장법인 지정 취소 의무화…공공성·효율성 ‘제고’ - 신규법인 ‘공모’ 방식으로 유치, 정가·수의 전담 인력 의무 배치 ○ [연합뉴스] 첫 농지 매입시 유리한 금리 선택 가능 - 경영위기농가·청년농 지원, 농지은행사업 개편 통해 ○ [연합뉴스] "임시숙소에서 전원생활 즐겨요"…농촌체류형 쉼터제도 시행 - 농촌 체류형 쉼터 제도 24일부터 시행 ○ [농민신문] 간장·고추장 등 장류 제조업 ‘생계형 적합업종’으로 재지정 - 4개 장류 제조업은 2월1일부터 2030년 1월31일까지 5년간 대기업 등의 진출이 제한 ○ [연합뉴스] 농공단지 건폐율 70→80%로 완화…"공장·창고 증설 더 쉽게" - 건폐율(건설부지에서 건축물이 차지하는 비율) 규제 완화, 전국 484개 농공단지 혜택 [농업․농촌현장 뉴스] ○ [농민신문] “계약서 쓴다 한들”…유통인 밭떼기 거래 갑질 ‘속수무책’ - 시세하락시 가격 깎는 행태 여전, 고령화로 수확 등 상인 의존 높아 ○ [농민신문] 태양광에 농촌 일상 ‘흔들’…집·축사 주변 열기·소음까지 - 사업자·도시민, 이익·혜택 누려, 도농 공평한 에너지 전환 필요 ○ [농민신문] ‘농민가공’ 참여 저조…규제 더 풀어야 - 농축산물 가공 참여율 0.24% 영업 등록기준 등 영세농 부담, 가공품 판매처 제한도 걸림돌 ○ [경향신문] ‘농업판 전세사기’ 뒤통수 맞은 청년농민 - 지난해 11월 전체 청년농업인 지원자 중 25%만 선발... ○ [연합뉴스] 작년 농가 판매가격 6.5% 상승…경영여건 2년 연속 개선 - 판매가격 지수는 청과물(15.6%), 축산물(1.6%)에서 오름세가 컸다 ○ [연합뉴스] '온실 난방비 20% 절감'…농진청, 온실용 다겹보온커튼 실용화 - 한파 대응 온실 난방비와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'에어로겔 다겹보온커튼' 실용화에 나선다 ○ [한국일보] 중소형 컬러수박 '골드킹' '그린킹'··· 신품종 등록 - 무게 3~4㎏, 노란 과육·연두 껍질, 1인 가구 겨냥 올부터 본격 보급 ○ [연합뉴스] 농진청 "올해 사과 꽃눈 분화율 낮은 편, 가지치기 주의해야" - 꽃눈 분화율 조사한 결과, 후지 54%, 홍로 64%로 평년보다 각각 8%, 4% 낮아 ○ [동아일보] 프리지어 신품종 ‘골드문’, 경제효과 200억 원 추산 - 노란색의 겹꽃으로 다화성 품종이며, 향이 강하고 꽃대의 직립성과 자구 증식률이 우수 ○ [머니투데이] '럼피스킨' 관리기준 낮추고, 현장농가 자율방역 추진 - 사전 예방 방역활동으로 럼피스킨 발생 차단, 제2종 가축전염병으로 조정하자는 현장의 목소리 [농작물 작황 및 가축질병 관련뉴스] ○ [농민신문] 봄 무·배추·당근 생산량 작년보다 늘고…양념채소 재배 줄듯 - (엽근채소) 당근 등 값 강세로 재배 늘어 봄양배추 생산량 2.3% 줄 듯 - (양념채소) 마늘 수요 줄어 면적 3.9% ↓ 양파·건고추·봄대파도 감소 ○ [농민신문] 올해 경지면적 150만㏊로 줄듯 - 작년 대비 4000㏊ 감소 예상, 식량안보 마지노선 붕괴 위기 ○ [농민신문] ASF 누적 발생 50건 돌파…고병원성 AI도 기승 - 경기 양주서 올 첫 ASF 확진, 35일 만에 같은 지역서 발생, 작년 10월말 이후 28건 [ 유통관련 뉴스] ○ [농민신문] 김치 수입량 역대 최고치…가공공장 고사 직전 - 최대였던 2019년보다 5520t↑ 저장고 없는 중소업체 타격 커 ○ [머니투데이] "알몸 김치? '금배추'가 더 무섭다"…중국산 김치 수입액 '역대 최고' - 배춧값이 급등하면서 가격이 싼 중국산 김치 수요가 급증 ○ [농민신문] 정부·농협 대책 통했다…쌀값 오름세 지속 - 공급부족 신호 확산땐 본격화, 시장 소비부진…회복여부 변수 ○ [농식품부] 이번 설에는 ‘민생선물세트’로 마음을 전하세요 - 쌀·한우·전통주·한과·과일·대한민국 식품명인 제품 등 ‘민생선물세트’ 최대 30% 할인 판매 ○ [매일경제] 농산물 설 성수기 집중 방출…40% 할인행사도 - 1월 29일까지 배추 2000t, 무 500t, 마늘 400t, 양파 1100t 공급, 600억원 규모 할인 지원 ○ [동아일보] 설 차례 상 전통시장서 준비하면 22만원…대형마트보다 13.4% 저렴 - 전통시장 22만 4040원, 대형마트 25만 8854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.0%, 2.5% 상승 [경제 / 사회 관련뉴스] ○ [동아일보] 국내기업 신용등급 2년 연속 하락세… 내수 침체-실적부진 이중고 - 작년 70개사 신용도 하락, 40곳 상승, 석유-유통 등 실적 악화에 대거 강등 ○ [한겨레] 1월 소비 심리 소폭 반등했지만…‘내란 쇼크’ 회복세 미미 - 전월 대비 3.0p 상승…계엄 전 수준은 크게 밑돌아 ○ [매일경제] 높은 수입의존·기후 충격…밥상 습격한 푸드플레이션 - 폭염으로 금사과·금배추 반복, 밀 수요 느는데 자급률 2% 안돼 ○ [매일경제] “정치불안, 경제성장률 갉아먹는다”…한은, 올해 전망치 1.6~1.7%로 하향 - 기존 1.9%에서 0.2~0.3%p↓ “계엄에 따른 경기 하방효과는 0.2%p” ○ [동아일보] “고환율에 원자재 값만 뛰어” 국내 산업 대부분 악영향 - 반도체-배터리-철강 등 9개 산업군… 해외투자 비용 등 늘어 기상도 흐림 [수출 관련뉴스] ○ [한국경제] 경남 농수산식품 수출, 2조원 넘었다 - 작년 수출액 14.8억달러 기록, 축산물 전년대비 18.8% 늘어 ○ [동아일보] 한국산 감귤, 필리핀 항공 수출길 열렸다…수출검역요건 대폭 완화 - 운송수단 항공 추가…봉인범위 확대, 수입검역 수량 10%→2%로 축소 등 [농업통상 관련뉴스] ○ [연합뉴스] "수입농산물 할당관세 적용으로 제주 농가 타격 우려" - 할당관세 연장·확대 대상 품목에 포함된 오렌지, 만다린, 양배추, 무, 당근 등의 수입이 확대 ○ [문화일보] 발등의 불 한미FTA, 경제동맹 지킬 신속 대응 절실하다 -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·캐나다에 대해 2월 1일부터 25% 관세 부과 방침 발표 - 무역협정 재검토 등을 지시한 행정명령에 한국이 적시되지는 않았지만... ○ [농식품부] 한국산 감귤 생과실, 필리핀 수출검역요건 완화 협상 타결 - 선박·항공화물로 수출가능, 포장상자가 아닌 파레트 또는 컨테이너 단위로도 봉인 가능 - 필리핀 도착 후 수입검역 시 현장검역수량을 10%에서 2%로 축소 ○ [농민신문] 수입 농축수산식품 할당관세 3년…국세 2조원 덜 걷었다 - 농축수산식품 지난해 7000억원 관세 지원, 소비자가격 인하효과는 미미 [국제 뉴스] ○ [농민신문] 日 쌀 부족 사태 ‘후폭풍’…물량 확보 쟁탈전까지 - 치솟는 日 쌀값 수요불안 심리탓 값 상승 여전, 의무수입 밥쌀 7년 만에 품절 ○ [농민신문] 美 트럼프 취임…중국, 농산물 수입국 다각화 ‘박차’ - 트럼프 귀환…무역전쟁 대비 아프리카 등서 수입규모 확대 [농축산물 수급/소비 관련 뉴스] ○ [농민신문] 수입 냉동딸기 ‘파죽지세’ - 지난해 냉동딸기 수입량이 1만6774t으로 전년(1만2771t) 대비 31.3% 급증 ○ [동아일보] 高물가속 김밥집은 줄고… ‘가성비’ 편의점 김밥 매출 42% 뛰어 - 농수산물-인건비 동반상승 여파, 김밥집 점포 2년새 2687개 줄어 ○ [연합뉴스] 1인당 쌀소비 또 최소, 30년만에 절반으로…술 빚는 용도는 증가 - 지난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평균 55.8㎏으로 1년 전보다 0.6kg(-1.1%) 감소 ○ [문화일보] 무·배추 등 10대 농축산물 비축 기간·물량 확대 - 배추 비축기간 2개월 → 3개월, 절대농지 체험농장 활용 허가 [물가관련 뉴스] ○ [동아일보] 고환율-정국불안에, 연초부터 먹거리 물가 ‘들썩’ - 1년새 배추 68%-무 90% 올라 업체들 “원재료값 상승 등 원인” [사업신청 안내] ○ [농식품부] 2025년 기본형 공익직불금 놓치지 말고 신청하세요! - 2월1일부터 4월 30일까지 관할 읍‧면‧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[주간 농업농촌식품 동향] ○ [한국농촌경제연구원 주간브리프] 세계와 국내 경제 동향 및 농업․농정 동향 ☞ 자세히 보기
※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협력하여 농경연에서 매주 분석하여 발표하는 농업농촌식품 동향인 “주간 브리프”을 링크하여 제공합니다. 위 자세히 보기를 클릭하면 농경연 사이트로 연결되고, 해당 사이트에서 아랫부분의 원문 PDF 자료를 클릭하시면 분석 동향을 보실 수 있습니다. |
※ 연합회에서는 정부지원사업, 농업정책 관련 상세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있으니 확인하시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.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