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농식품 정책 관련 뉴스] ○ [한국농어민신문] 소농직불금 농가당 130만원…저탄소 영농 이행 활동비 지급 - 기본형 공익직불 면적직불금 단가 5% 인상. 동계 밀, 하계 조사료의 전략작물직불금 단가 인상 ○ [연합뉴스] 생산기반 정비예산 1조4천500억원 상반기 집행 - 농촌용수 개발, 배수 개선, 수리시설 개·보수 등의 예산을 상반기 집행 예정 ○ [파이낸셜뉴스] aT "밀·콩 등 전략작물 가공산업 활성화" - 제품개발 전 단계를 지원하는 '전략작물 제품화 패키지 지원사업'의 사업자를 오는 17일까지 모집 ○ [연합뉴스] 벼 대신 다른작물 심으면 '인센티브'…"쌀값 하락 막는다" - 벼 재배면적 조정제 시행…"올해 벼재배면적 8만㏊ 감축 목표" ○ [농식품부] 농축산물 물가 안정에 유통업체의 적극적인 협조 당부 - 소비자 장바구니 물가부담 완화를 위해 자체할인 추진 등 협조 당부 ○ [농민신문] 가루쌀 성장세 ‘주춤’…생산성·가격 숙제 - 지난해 생산·소비 실적 부진, 정부도 올해 재배 목표 낮춰, 품종 다변화·수요 확보 필요 [법령/제도/규정 관련 뉴스] ○ [농민신문] 역할 커진 계절근로자…전문기관 설치되나 - 고용허가제 수요 상당 전환 추세, 출입국관리법 개정안 국회 발의 ○ [농민신문] 올해 농업 조세 감면 끝나면…세부담 2조3600억 증가 - 농가 경영 부담 완화 등 차질, 농업계, 12건 연장 요구 높아 ○ [연합뉴스] 여성농업인 특수검진 전국 150개 시·군·구로 확대 - 올해 검진 대상은 51∼70세(1955∼1974년생) 여성농업인 중 홀수년도 출생자 ○ [연합뉴스] 농작물 재해보험 대상 76개로…녹두·생강·참깨 추가 - 신품종·재배 기술도 보장 대상에 추가 - 사과 탄저병, '자연재해성 병충해' 보장…일조량 부족 피해 기준 마련 [농업․농촌현장 뉴스] ○ [세계일보] 에어로겔 보온 커튼, 원예농가 난방비 절감 효과 - 전국 57개 농가에 시범 적용결과, 기존 보온커튼보다 난방비가 15~20% 감소 ○ [한국농어민신문] 유독 시린 축산농가의 ‘겨울나기’ - 가축전염병 지속 확산, 폭설 피해와 도축 수수료 인상 등 각종 악재가 이어져 ○ [농민신문] 도입 논의 20년째 지지부진, 쌀 의무자조금 다시 ‘수면 위’ - 쌀전업농 ‘공동 위원회’ 추진, 50만 벼농가 의견 취합 난망 ○ [농민신문] 수입 꽃가루값 50% 급등…배 인공수분비 30% 뛸듯 - 환율 등 영향…인건비도 올라, 농가, 수분수 식재로 대응해야 ○ [서울경제] 경기도, 과수 냉해 예방시설 지원 - 경기도내 156개 농가에 과수 냉해 예방시설 설치 지원(보조율 90%) [농작물 작황 및 가축질병 관련뉴스] ○ [농식품부] 충북 진천 산란계 농장에 대한 정기 예찰 검사에서 H5형 조류인플루엔자 항원 확인 - 고병원성 여부는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정밀검사 중에 있음(약 1∼3일 소요 예상) ○ [농식품부]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추가 발생 위험성이 높아 2월 한 달간 집중 방역관리 추진 - 2월에도 추가 발생 가능성이 높은 상황으로 특별점검, 일제 검사 및 집중 소독 시행 강조 [ 유통관련 뉴스] ○ [한겨레] 충북 ‘못난이 김치’ 퇴색…지금은 무늬만 ‘못난이’ - 판로가 막히거나 흠이 난 ‘못난이’ 배추를 멀쩡한 ‘잘난’ 배추로 무늬만 ‘못난이 김치’ ○ [이데일리] '금값' 배추에 정부, 중국산 또 수입…다음주 중 시장 공급 - aT 통해 중국산 배추 직수입, 초도물량 품질 검사 중…다음주에 도매시장 공급 ○ [농민신문] 조화 사용 만연…화훼농가 ‘한숨’ - 공원묘원 가보니 관리 필요없는 조화가 대부분, 폐기물 처리시간·인력 부담 커 ○ [농민신문] 쌀 소비량 감소 1.1%뿐?...산지 “그럼 쌀값 상승폭 더 커야” - 쌀값 상승 더뎌 조사결과 의문, 농식품부 전망과도 1kg 이상 차이 ○ [농민신문] 감귤, 반입량 줄어 당분간 강세 예상 - 제주 열매터짐 피해 증가 영향, 지난해보다 단수 8.6% 줄어 ○ [경향신문] 중국산 소금·고춧가루 버무리고 버젓이 ‘국내산 김치’로 판매 - 지난달 6~24일 원산지 표시 일제점검을 실시해 위반업체 396개소(품목 514건) 적발 ○ [농민신문] “저속노화 열풍에 잡곡·샐러드류 잘 팔려” - 컬리, 2024년 잡곡 판매량 전년 대비 30% ↑ ○ [머니투데이] 마진 줄여 파는 대형마트, '최저가' 물량 확보에 사활 - 사전 대량 구매·현지 경매 참여 등으로 매입가 낮춰 ○ [농민신문] 정부, ‘평가 등급’ 엄격히 분리…도매시장법인 공공성 강화 - 상대평가 도입해 경쟁 촉진, 정가·수의 매매 인력 확보 등 산지 지원 실적 가중치 늘려 [경제 / 사회 관련뉴스] ○ [조선일보] 고환율 위험 커진 은행, 떼일 우려 큰 中企대출부터 줄여 - 중기 대출 등 위험자산 줄이기 골몰, 中企 자금 조달 더 어려워져 ○ [연합뉴스] '관세전쟁'에 K중기·식품·의류·화장품 대책마련 분주 - K식품·패션·화장품기업, 관세 변화 촉각…미국 내 생산 늘려 ○ [동아일보] 내수부진에 자영업 직격탄… 폐업공제금 1조3908억 사상 최대 - 작년 영세 자영업자 폐업 급증, 퇴직금 담보 대출 25%↑ 9조 ○ [조선일보] 끝이 안 보이는 내수 부진… 소매 판매 21년 만에 최대 감소 - 소매 판매가 2003년 ‘카드 대란’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 21년 만에 최악의 소비 절벽 ○ [아주경제] 쪼그라드는 인구·줄어드는 일손…외국인력 도입 확대 불가피 - 2072년 한국 인구 3622만명 전망, 제조업 등 저숙련 노동력 확보해야 ○ [중앙일보] ‘경제 버팀목’ 수출마저 16개월 만에 뒷걸음…무역수지도 적자 전환 - 2023년 6월 이후 19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하던 무역수지도 지난달 적자 전환 ○ [아주경제] 지난달 생산·투자 늘었지만 소비 '뚝'…소비 감소 3년째 - 생산 2.3%↑, 소비 0.6%↓, 설비투자 9.9%↑ [수출 관련뉴스] ○ [헤럴드경제] “한국딸기 최고” 인도네시아 홀린 K-과일 - 인도네시아 전체 딸기 수입액에서 한국이 67%(357만2000달러)로 1위 [국제 뉴스] ○ [이데일리] 생산관리·전략작물 육성 투트랙…쌀 공급 절반 줄인 日 - 타작물유도·자율방식으로 유연한 정책전환, 2018년 조정제 폐지 이후에도 생산량감소 ○ [중앙일보] 토마토·소고기…미국 식탁물가 비상, WSJ “역사상 가장 어리석은 무역전쟁” - 캐나다·멕시코 25%, 중국 10% 관세 지속되면 2034년까지 미국의 국내총생산(GDP) 0.4% 감소 ○ [조선일보] 21세기에 쌀 파동 겪는 일본, 결국 비축미 푸는 수순 - 햅쌀 평균 도매가(60㎏·현미 기준)는 2만4000엔(약 22만5000원)으로, 예년보다 50% 이상 비싸 [농축산물 수급/소비 관련 뉴스] ○ [국민일보] “못난이 사과 값이 착해”… 한 달을 기다린 서민들 - 고물가에 ‘소비 다운그레이드’ 뚜렷, 구매 효율 추구하는 합리적 선택 ○ [문화일보] 세계서 가장 비싼 사과·바나나·감자 먹는 한국인 - 서울 물가 아시아 81개 도시중 톱, 도쿄보다 평균 23%나 비싸 ○ [연합뉴스] 작년 밥쌀 소비 역대 최소…농경연 "2035년까지 15% 더 감소" - 쌀 소비 계속 줄어, 앞으로 10년간 식량용 쌀 소비량 약 15%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 ○ [농민신문] 대형마트, 농식품 중심 ‘특화’…과일 소포장·델리 코너 소비자 인기 끌어 - 온라인 차별화 위해 새 출점, 냉동 간편식 등 식료품 강화 ○ [농민신문] 설 대목 사과 공급량·소비 ‘안정적’…배 수요는 ‘급감’ - 사과 10㎏ 상품 4만원대, 배는 정부 할인 지원 제외 수요감소, 만감류는 경기침체로 판매 부진 [물가관련 뉴스] ○ [연합뉴스] '장바구니 물가' 다시 들썩…연초부터 팍팍해진 살림살이 - 고환율·고유가에 상승률 2%대로…美 관세·추경 등 상방 압력 계속 ○ [이투데이] 1인 가구는 뭐 먹고 사나…최근 5년간 외식물가 23.1% 상승 - 분식류, 식사류 등 30%대 상승…코로나19 유행 거치며 물가 급등 [사업신청 안내] ○ [농식품부] 올해 파종할 콩·팥 정부 보급종 신청하세요 - 접수처 및 기간 : 시·군 농업기술센터 및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, 2.3~4.10 [주간 농업농촌식품 동향] ○ [한국농촌경제연구원 주간브리프] 세계와 국내 경제 동향 및 농업․농정 동향 ☞ 자세히 보기 ※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협력하여 농경연에서 매주 분석하여 발표하는 농업농촌식품 동향인 “주간 브리프”을 링크하여 제공합니다. 위 자세히 보기를 클릭하면 농경연 사이트로 연결되고, 해당 사이트에서 아랫부분의 원문 PDF 자료를 클릭하시면 분석 동향을 보실 수 있습니다. |
※ 연합회에서는 정부지원사업, 농업정책 관련 상세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있으니 확인하시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.
|